9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주식투자 시작하기 - 거래량(세력의 흔적-스마트머니) 분석

지난 글( 지난 글 확인 )에 얘기한 세력의 흔적. 정체는 거래량(스마트머니)입니다. 스마트머니가 무엇이고 왜 세력의 흔적인지 알아볼게요. 제대로 된 차트분석을 통한 주식투자는 스마트머니의 정체를 아는데서 시작합니다. 1. 스마트머니란? 빠른 정보력과 많은 자금을 바탕으로 고수익을 내기 위해 움직이는 자금 입니다. 이전 글( 세력 확인 )에서 세력이라고 표현한 것과 같은 내용이죠? 이제부터는 세력=스마트머니 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차트에서 스마트머니가 들어왔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거래량을 보는 것입니다. 종목 차트 상에서 최소 1년 내의 최대 거래량 이 한방에 터진다면 스마트머니(세력)가 들어왔다고 보셔도 됩니다. 전 글에서 세력은 손해보는 매집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죠? 그렇다면 세력이 들어온 종목을 빠르게 알아채고 그 종목을 따라산다면 어떨까요? 이것이 바로 주식 차트 분석의 기본 입니다. 2. 스마트머니 알아내기 주식에는 호재가 있습니다. 인수/합병, 정부의 회사 연관 사업 예산편성 등이 대표적이죠. 이런 정보들을 세력은 남들보다 더 빨리 알아내서 매집을 합니다. 종목의 규모나 호재의 크기, 세력의 크기에 따라 매집하는 금액은 다르겠지만 매집 금액은 수십억, 수백억 단위 라고 보시면 됩니다. 코스피+코스닥에 상장된 종목 수는 25년 현재 기준 대략 2,700개 정도입니다. 이 많은 종목들을 돌아가면서 세력은 작업을 합니다. 시장의 관심을 못 받고 있는 종목(시장소외주)들 중에 투자자의 관심을 끌만한 호재를 가진 종목, 즉 시장주도주가 될만한 종목 을 선택해서 자금을 투입합니다. 시장 소외주의 거래금액을 확인해보시면 알겠지만 하루 거래금액이 3억도 안되는 종목들이 대부분입니다. 이런 종목들을 매집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릴까요? 따라서 세력은 한방에 기습적으로 대량의 물량을 매집 합니다. 이것이 거래량으로 나타나며 세력이 들어온 흔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거래량이 적은 종목을 대량으로 매집하면 종목의 가격은 급등합니다. 거래량도 당연히 급증하겠죠. 따...